내 마음대로 공간

1. print()

Point I
print() :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어

print("Hello Rabbit!")  

## 출력결과 ##
Hello Rabbit!

Point II
콤마(,)를 통해 여러 자료를 출력

print(3, "Hello")   

## 출력결과 ##
3 Hello

Point III
print()를 여러 번 사용하여 여러 줄에 걸쳐 출력

print(3)  
print(6)  
print(9)  

## 출력결과 ##
3
6
9

2. 기본 자료형

Point I
숫자형 :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형

3 : 정수  
3.14 : 실수  

Point II
문자열 : 문자, 혹은 문자들의 집합 - 큰따옴표(“)/작은따옴표(‘)로 구분

'Hello'  
'3.14'  
"3.14"  

Point III
리스트 : 여러 자료를 함께 보관하는 자료형 - 대괄호([])로 구분

[]  
['a', 'b']  
['a', 2]  

3. 변수

Point I
변수 : 자료를 담는 그릇!
변수 이름 = 자료 형태로 사용

num = 10   
name = "Michael"   
grade = ['A+', 'B+', 'A0']  

Point II
변수 이름 짓기
숫자, 알파벳, 언더바(_) 등을 사용

Point III
금지 규칙

  • 숫자로 시작하는 변수이름 금지
1st = 1000 #Error
  • 숫자로만 구성된 변수 이름은 사용할 수 없어요
123 = "Hello!" #Error
  • 파이썬 문법에서 이미 사용되는 단어(keyword, 예약어)는 사용할 수 없어요
for = 10 #Error
  • 공백 문자( )와 연산자는 사용할 수 없어요
I am = "groot" #Error  
3+4 = 12 #Error

4. 연산

Point I
숫자의 사칙연산 : +(더하기), -(빼기), *(곱하기), /(나누기)

print(6+3) #9
print(6-3) #3
print(6*3) #18
print(6/3) #2.0

Point II
숫자의 특수연산 : **(제곱), //(몫 연산), %(나머지 연산)

print(6**3) #216
print(6//3) #2
print(6%3) #0

Point III
문자열의 연산: +(연결하기), *(반복하기)

print("Hello" + "World") #HelloWorld
print("Hello"*3) #HelloHelloHello

5. 인덱싱과 슬라이싱

Point I
인덱스 : 문자열과 리스트의 특정 원소의 위치, 0부터 시작!

"Hello"에서 H = Index 0, e = index 1, ...

Point II
인덱싱 : 문자열과 리스트의 특정 위치(인덱스)의 원소를 가져오는 것

greet = "Hello!"  
print(greet[1])  

## 출력결과 ##
e

Point III
슬라이싱 : 문자열과 리스트의 특정 부분을 가져오는 것

greet = "Hello!"  
print(greet[0:5])  
Hello

 

 

예제 1.

#바밤바는
#밤이들어간
#바이다.

print("바밤바는")
print("밤이들어간")
print("바이다.")

 

예제 2.

#숫자 50과 숫자 50을 더해서 출력
#문자열 "50"과 문자열 "50"을 더해서 출력
#리스트 [50]과 리스트 [50]을 더해서 출력

print(50+50)
print("50"+"50")
print([50]+[50])

 

예제 3.

# 변수에는 정수, 실수같은 숫자를 저장할 수 있고,
num1 = 1
num2 = 2 
# 영어나 한글같은 문자도 저장할 수 있어요.
character = 'a'

# 이런 문자들의 집합도 저장할 수 있고,
string = 'Python'

# 자료들을 여러 개 담을 수 있는 리스트 또한 저장할 수 있어요.
threeList = [1, 'a', 'Python']

# 여러분의 변수를 만들어 봅시다. my_var라는 이름의 변수를 만들고, 원하는 값을 넣어보세요!

my_var = 123456789
print(my_var)


# 변수는 print()에 넣을 수도 있어요! my_var를 print로 출력해서 값이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봅시다!



# 변수끼리는 연산 또한 가능합니다. 예를들어, 위에 있는 num1, num2을 더하면?!
print(num1+num2)

 

예제 4.

#'Num1'이라는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, 숫자 23571를 넣어줍시다.
Num1 = 23571

#'Num2'이라는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, 'Num1'에 1024를 곱한 값을 넣어줍시다.
Num2 = Num1 * 1024

#'Num3'이라는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, 'Num2'에 243을 나눈 값을 넣어줍시다.
Num3 = Num2/243

#'Num4'이라는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, 'Num3'에 4927819을 더한 값을 넣어줍시다.
Num4 = Num3+4927819

#'Answer'이라는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, 'Num4'에 829176을 뺀 값을 넣어줍시다.
Answer = Num4-829176

#지효에게 외쳐봅시다. '네가 생각한 답은 Answer원이야!'
print("네가 생각한 답은", Answer, "원이야!")

 

예제 5.

# //을 이용해서 변수 intdiv에 4를 넣는 수식을 작성해봅시다.
intdiv = 17//4

# %을 이용해서 변수 modular에 1을 넣는 수식을 작성해봅시다.
modular = 17%4

# **을 이용해서 변수 expo에 16을 넣는 수식을 작성해봅시다.
expo = 2**4

#위의 세 변수를 출력해서 확인해봅시다.
print(intdiv, modular, expo)

 

예제 6.

# 변수 connect_str를 선언하고, 연결 연산자를 이용해서 '덩덕쿵덕'를 넣어봅시다.
connect_str = "덩덕"+"쿵덕"

# 변수 iterate_str를 선언하고 반복 연산자를 이용해서 '쿵덕쿵덕'을 넣어봅시다.
iterate_str = "쿵덕"*2

# 위 두 변수를 이용해서 '덩덕쿵덕쿵덕쿵덕덩덕쿵덕쿵덕쿵덕'을 변수 jajinmori에 넣어봅시다
jajinmori = "덩덕"+"쿵덕"*3+"덩덕"+"쿵덕"*3

print(connect_str, iterate_str, jajinmori)

 

예제 7.

#dahyun가 가지고 있는 보석 중에 특별히 빛나는 보석이 있어요! 이를 훔쳐볼까요?
dahyun = ['은', '은', '다이아몬드', '은', '은', '은', '은', '은']

#이 가방에 한번 넣어봅시다!
stealBag1 = dahyun[2]

#tzuyu는 금빛 보석을 많이 가지고 있네요! 이도 한번 훔쳐볼까요?
tzuyu = ['은', '은', '은', '은', '금', '금', '금', '은', '은', '은']

#이 가방에 한번 넣어봅시다!
stealBag2 = tzuyu[4:7]

#여러분이 훔쳐온 보석은 무엇인지 print()를 이용해서 한번 확인해보세요!
print('dahyun로부터 훔쳐온 보석은', stealBag1)
print('tzuyu로부터 훔쳐온 보석은', stealBag2)

 

예제 8.

#친구에게 어제 봤던 별자리를 print()를 이용해서 보여줍시다!
print("*")
print("**")
print("***")
print("****")
print("*****")

 

예제 9.

#섭씨온도를 담을 변수 c를 선언하고, 숫자 18을 담아봅시다.
c= 18


#화씨온도를 담을 변수 f를 선언하고, c와 섭씨-화씨 변환식을 이용해서 값을 담아봅시다.
f = c * (9/5) + 32

#변수 today_temp를 선언하고, 섭씨온도 c와 화씨온도 f를 순서대로 담은 리스트를 담아봅시다.
today_temp = [c, f]

#맞게 변환했는지 today_temp를 print()로 확인해봅시다.

print(today_temp)

 

728x90
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함수와 메서드  (0) 2023.06.05
조건문 정리  (0) 2023.05.21
파이썬(Python) 시계열분석  (0) 2020.12.31
파이썬(Python) 고급연산  (0) 2020.12.31
파이썬(Python) 고급문자열 처리  (0) 2020.12.31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
loading